분류 전체보기
-
LINUX 방화벽(Firewall)서버 구축하는 방법[1편]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13. 22:03
LINUX 방화벽(Firewall) 서버 구축하는 방법[1편] ★테스트 환경 1. 리눅스 서버#1(Client) IP address: 10.1.1.10[내부망] 2. 리눅스 서버#2(Web Server) IP address: 10.1.1.20 [내부망] 3. 리눅스 서버#3(Firewall Server) IP address: 10.1.1.1 [내부망 게이트웨이] IP address: 192.168.111.100 [외부망 NAT] 4. 윈도우 서버#4(Host Client) IP address: 공인 IP [외부 네트워크] 사설 IP 주소 범위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사설 IP주소..
-
LINUX PROXY(프록시)서버 구현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11. 01:00
LINUX PROXY(프록시)서버 구현하는 방법 ★프록시 설명 1.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 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말함. 2.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계기로써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름. 리눅스 서버#1(프록시서버) : 192.168.111.100 리눅스 서버#2 : 192.168.111.130 윈도우 서버#3 : 192.168.111.128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squid CentOS-8 - AppStream 2.4 kB/s | 4.3 kB 00:01 CentOS-8 - Base 2.1 kB/s | 3..
-
LINUX NFS서버 구축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9. 21:43
LINUX NFS서버 구축하는 방법 ★NFS(Network File System) 설명 1. 컴퓨터 사용자가 원격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마치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것처럼 검색하고 사용하며 읽기/쓰기를 사용할 수 있음. 2. SMB와 거의 흡사하지만 Linux와 Windows간 파일공유에는 대부분 SMB를 쓰고, Linux 간에는 대부분 NFS를 사용함, NFS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포트번호는 고정되어있지 않음. 리눅스 서버#1 : 192.168.111.100(NFS서버) 리눅스 서버#2: 192.168.111.130 윈도우 서버#3: 192.168.111.128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nfs-utils 마지막 메타 데이터 만료 확인 : 1 day, 2..
-
LINUX SMB 리눅스 공유볼륨 윈도우 드라이브 연결하기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8. 20:04
LINUX SMB 리눅스 공유 볼륨 윈도우 드라이브 연결하기 ★Samba [SMB]에 대한 설명 1. Window서버와 LInux/Unix 서버 간의 파일 공유를 위해서 개발된 프로토콜 2. Linux에서 Window 또는 Window에서 Linux로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일 때 사용 3. 즉 SMB는 네트워크 상 존재하는 노드들 간에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 리눅스 서버 : 192.168.111.100 윈도우서버 : 192.168.111.128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samba 마지막 메타 데이터 만료 확인 : 19:36:22 전에 2022년 07월 07일 (목) 오후 11시 09분 01초. 종속성이 해결되었습니다. =============..
-
LINUX SMB 윈도우 공유볼륨 리눅스에 마운트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8. 00:26
LINUX SMB 윈도우 공유볼륨 리눅스에 마운트하는 방법 ★Samba [SMB]에 대한 설명 1. Window서버와 LInux/Unix 서버 간의 파일 공유를 위해서 개발된 프로토콜 2. Linux에서 Window 또는 Window에서 Linux로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일 때 사용 3. 즉 SMB는 네트워크 상 존재하는 노드들 간에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 4. SMBV.1, SMBV.2, SMBV.3이 각각 존재함. 192.168.111.100 : Linux서버 192.168.111.128 : Window서버 [root@localhost /]# ip a | grep -i ens160 2: ens160: mtu 1500 qdisc fq_codel state UP group def..
-
LINUX PXE서버구축을 통한 OS 설치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6. 00:00
LINUX PXE서버 구축을 통한 OS 설치하는 방법 ★PXE서버 설명 사전 부팅 실행 환경 또는 간단히 PXE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를 부팅할 수 있게 해주는 환경이다. ★테스트 환경 192.168.111.100 = DHCP 서버, TFTP 서버, FTP 서버, syslinux 서버 역할 192.168.100.120 ~ 192.168.100.199 = PXE서버를 통해 원격으로 OS 설치가 될 Client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syslinux dhcp-server tftp-server vsftpd CentOS-8 - AppStream 1.2 kB/s | 4.3 kB 00:03 CentOS-8 - Base 2.2 kB/s | 3.9 kB 00:01 C..
-
LINUX NMAP 패키지를 활용한 포트 상태 확인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6. 28. 19:15
LINUX NMAP 패키지를 활용한 포트 상태 확인하는 방법 [root@LINUX opt]# mkdir nmap_rpm ▶ /opt 디렉토리에 nmap_rpm 디렉토리 하나를 생성합니다. ★nmap 설명 1. 호스트 탐지 - 네트워크상의 컴퓨터들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ping 응답이나 특정 포트가 열린 컴퓨터들을 나열한다. 2. 포트 스캔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대상 컴퓨터들에 열린 포트들을 나열한다. 3. 버전 탐지 -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과 버전 번호를 확인하기 위해 원격 컴퓨터의 네트워크 서비스에 주의를 기울인다. 4. 운영 체제 탐지 - 원격으로 운영 체제와 네트워크 장치의 하드웨어 특성을 확인한다. [root@LINUX nmap_rpm]# ls -ltr -rw-r--r-- 1 root roo..
-
LINUX Banner(Motd, issue.net, issue) 설정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6. 27. 23:45
LINUX Banner(Motd, issue.net, issue) 설정하는 방법 [root@localhost /]# cat /etc/motd [root@localhost /]# cat /etc/issue.net \S Kernel \r on an \m [root@localhost /]# cat /etc/issue \S Kernel \r on an \m ▶ 리눅스 시스템에서 Banner 설정을 하는데 필요한 설정 파일들은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motd, issue.net, issue 설정 파일로 해당 파일들은 Default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 배너 설정 파일 종류 1. /etc/motd : Telnet 또는 SSH로 Shell 접속 시 로그인이 성공되었을 때 보이는 메시지 2...
-
LINUX VI 및 VIM 편집기 Set number 설정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6. 27. 22:54
LINUX VI 및 VIM 편집기 Set num 설정하는 방법 [root@localhost /]# find / -name vi*rc /etc/vimrc /etc/virc ▶ 기본적으로 리눅스 초기 설치 시에는 /etc 디렉토리에 vimrc와 virc 파일이 존재합니다. 간혹 vim 패키지가 설치 안되어 있다면 dnf -y install vim을 통해서 vim 패키지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Vi 와 Vim의 차이점 유닉스의 기본 편집기인 VI 에디터를 개량한 버전이, 바로 VIM (빔) 에디터입니다. 따라서 본질적인 차이는 없습니다. 1. VI는 텍스트 편집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만 가지고 있고 문법 강조 기능이 없음 2. VIM은 윈도우의 울트라에디트만큼이나 강력한 기능들이 많이 추가되어 있음 [root..
-
LINUX DNS(마이네임전용)서버 구축하기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6. 23. 01:22
LINUX DNS(마이네임전용)서버 구축하기 [root@localhost /]# cat /etc/nsswitch.conf | grep -i hosts # hosts: files dns # hosts: files dns # from user file hosts: files dns myhostname /etc/hosts.conf order hosts, bind(nameserver) - hosts 파일에서 우선순위 1. files 2. dns 3. bind hostname/etc/resolv.conf(nameserver) - DNS Name 서버 주소 등록 192.168.111.100 -> DNS 서버 + 웹서버 = 마이네임전용서버 192.168.111.130 -> DNS를 테스트할 Client서버 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