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 of Infra
-
LINUX WEB Console 시스템 관리 cockpit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21. 00:03
LINUX WEB Console 시스템 관리 cockpit Cockpit이란? - 기존의 RHEL 7.5 버전 이상부터는 각종 패키지들을 설치 후에 서비스를 기동 할 수 있었다면 RHEL 8.0 버전 이상부터는 Default로 cockpit 서비스가 깔려있고 소켓만 열어준다면 바로 웹 관리 페이지를 통해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root@mail /]# dnf list | grep -i cockpit cockpit.x86_64 185-2.el8 @anaconda cockpit-bridge.x86_64 185-2.el8 @anaconda cockpit-packagekit.noarch 184.1-1.el8 @AppStream cockpit-storaged.noarch 184.1-1.el8 @AppS..
-
LINUX 메일서버 구축하는 방법[3편] - Sendmail/dovecot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20. 00:09
LINUX 메일서버 구축하는 방법[3편] - Sendmail/dovecot Sendmail이란? - 인터넷 전자 메일의 표준규약으로 프로토콜을 통해서 메일 서버 간에 메일을 주고받는 역할을 수행 dovecot이란? - Linux/Unix 계열 시스템용 IMAP과 POP3를 사용하는 전자메일 서버 1. SMTP -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서 이메일을 보내는 데 있어서 업계 표준 프로토콜-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보내거나 메일서버 간의 메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서비스 2. POP3 - 메일서버에 도착되어 있는 메일을 클라이언트가 가져올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 POP3는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가져오고 가져온 메일이 확인되면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삭제 3. IMA..
-
LINUX 메일서버 구축하는 방법[2편] - Sendmail/dovecot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19. 00:13
LINUX 메일서버 구축하는 방법[2편] - Sendmail/dovecot Sendmail이란? - 인터넷 전자 메일의 표준규약으로 프로토콜을 통해서 메일 서버 간에 메일을 주고받는 역할을 수행 dovecot이란? - Linux/Unix 계열 시스템용 IMAP과 POP3를 사용하는 전자메일 서버 1. SMTP -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서 이메일을 보내는 데 있어서 업계 표준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보내거나 메일서버간의 메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서비스 2. POP3 - 메일서버에 도착되어 있는 메일을 클라이언트가 가져올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 POP3는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가져오고 가져온 메일이 확인되면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삭제 3. IMA..
-
LINUX 메일서버 구축하는 방법[1편] - Sendmail/dovecot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17. 00:45
LINUX 메일서버 구축하는 방법[1편] - Sendmail/dovecot Sendmail이란? - 인터넷 전자 메일의 표준규약으로 프로토콜을 통해서 메일 서버 간에 메일을 주고받는 역할을 수행 dovecot이란? - Linux/Unix 계열 시스템용 IMAP과 POP3를 사용하는 전자메일 서버 1. SMTP -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의 줄임말로서 이메일을 보내는 데 있어서 업계 표준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보내거나 메일서버간의 메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서비스 2. POP3 - 메일서버에 도착되어 있는 메일을 클라이언트가 가져올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 POP3는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가져오고 가져온 메일이 확인되면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삭제 3. IMA..
-
LINUX 방화벽(Firewall) 서버 구축하는 방법[3편]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15. 00:01
LINUX 방화벽(Firewall) 서버 구축하는 방법[3편] ★테스트 환경 1. 리눅스 서버#1(Client) IP address: 10.1.1.10[내부망] 2. 리눅스 서버#2(Web Server) IP address: 10.1.1.20 [내부망] 3. 리눅스 서버#3(Firewall Server) IP address: 10.1.1.1 [내부망 게이트웨이] IP address: 192.168.111.100 [외부망 NAT] 4. 윈도우 서버#4(Host Client) IP address: 공인 IP [외부 네트워크] 사설 IP 주소 범위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사설 IP주소..
-
LINUX 방화벽(Firewall)서버 구축하는 방법[2편]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14. 00:05
LINUX 방화벽(Firewall) 서버 구축하는 방법[2편] ★테스트 환경 1. 리눅스 서버#1(Client) IP address: 10.1.1.10[내부망] 2. 리눅스 서버#2(Web Server) IP address: 10.1.1.20 [내부망] 3. 리눅스 서버#3(Firewall Server) IP address: 10.1.1.1 [내부망 게이트웨이] IP address: 192.168.111.100 [외부망 NAT] 4. 윈도우 서버#4(Host Client) IP address: 공인 IP [외부 네트워크] 사설 IP 주소 범위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사설 IP주소..
-
LINUX 방화벽(Firewall)서버 구축하는 방법[1편]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13. 22:03
LINUX 방화벽(Firewall) 서버 구축하는 방법[1편] ★테스트 환경 1. 리눅스 서버#1(Client) IP address: 10.1.1.10[내부망] 2. 리눅스 서버#2(Web Server) IP address: 10.1.1.20 [내부망] 3. 리눅스 서버#3(Firewall Server) IP address: 10.1.1.1 [내부망 게이트웨이] IP address: 192.168.111.100 [외부망 NAT] 4. 윈도우 서버#4(Host Client) IP address: 공인 IP [외부 네트워크] 사설 IP 주소 범위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사설 IP주소..
-
LINUX PROXY(프록시)서버 구현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11. 01:00
LINUX PROXY(프록시)서버 구현하는 방법 ★프록시 설명 1.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 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말함. 2.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계기로써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름. 리눅스 서버#1(프록시서버) : 192.168.111.100 리눅스 서버#2 : 192.168.111.130 윈도우 서버#3 : 192.168.111.128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squid CentOS-8 - AppStream 2.4 kB/s | 4.3 kB 00:01 CentOS-8 - Base 2.1 kB/s | 3..
-
LINUX NFS서버 구축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9. 21:43
LINUX NFS서버 구축하는 방법 ★NFS(Network File System) 설명 1. 컴퓨터 사용자가 원격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마치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것처럼 검색하고 사용하며 읽기/쓰기를 사용할 수 있음. 2. SMB와 거의 흡사하지만 Linux와 Windows간 파일공유에는 대부분 SMB를 쓰고, Linux 간에는 대부분 NFS를 사용함, NFS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포트번호는 고정되어있지 않음. 리눅스 서버#1 : 192.168.111.100(NFS서버) 리눅스 서버#2: 192.168.111.130 윈도우 서버#3: 192.168.111.128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nfs-utils 마지막 메타 데이터 만료 확인 : 1 day, 2..
-
LINUX SMB 리눅스 공유볼륨 윈도우 드라이브 연결하기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2. 7. 8. 20:04
LINUX SMB 리눅스 공유 볼륨 윈도우 드라이브 연결하기 ★Samba [SMB]에 대한 설명 1. Window서버와 LInux/Unix 서버 간의 파일 공유를 위해서 개발된 프로토콜 2. Linux에서 Window 또는 Window에서 Linux로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일 때 사용 3. 즉 SMB는 네트워크 상 존재하는 노드들 간에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 리눅스 서버 : 192.168.111.100 윈도우서버 : 192.168.111.128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samba 마지막 메타 데이터 만료 확인 : 19:36:22 전에 2022년 07월 07일 (목) 오후 11시 09분 01초. 종속성이 해결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