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Redhat8 NTP 설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1. 5. 25. 21:27728x90반응형
LINUX Redhat8 NTP 설정
[root@master01 /]# ip addr show | grep -i bond0 10: bond0: <BROADCAST,MULTICAST,MASTER,UP,LOWER_UP> mtu 1500 qdisc noqueue state UP inet 211.XXX.XXX.XXX/28 brd 211.XXX.XXX.XXX scope global bond0
▶ 마스터 서버로 지정되어 있는 master01이라는 호스트를 마스터 서버 1로 지정합니다.
[root@master02 /]# ip addr show | grep -i bond0 10: bond0: <BROADCAST,MULTICAST,MASTER,UP,LOWER_UP> mtu 1500 qdisc noqueue state UP inet 211.XXX.XXX.XXX/28 brd 211.XXX.XXX.XXX scope global bond0
▶ 마스터 서버로 지정되어 있는 master02라는 호스트를 마스터 서버2로 지정합니다.
[root@client01 /]# ip addr show | grep -i bond0 10: bond0: <BROADCAST,MULTICAST,MASTER,UP,LOWER_UP> mtu 1500 qdisc noqueue state UP qlen 1000 inet 10.XXX.XXX.XXXX/24 brd 10.XXX.XXX.XXX scope global bond0
▶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마스터에 동기화를 하기 위해 client01이라는 호스트를 클라이언트 서버로 지정합니다.
[root@master01 /]# cat /etc/chrony.conf # Use public servers from the pool.ntp.org project. # Please consider joining the pool (http://www.pool.ntp.org/join.html). #server 0.rhel.pool.ntp.org iburst #server 1.rhel.pool.ntp.org iburst #server 2.rhel.pool.ntp.org iburst #server 3.rhel.pool.ntp.org iburst server time.bora.net server ntp.kornet.net server ntp2.kornet.net # Allow NTP client access from local network. allow 211.XXX.XXX.XXX/24(마스터 아이피 또는 대역을 추가) allow 10.XXX.XXX.XXX/24(클라이언트의 아이피 또는 대역을 추가) # Disable logging of client accesses. noclientlog allow 10.XXX.XXX.XXX/24
▶ 마스터 서버 1호기의 동기화를 위해서 공인 타임시간존을 /etc/chrony.conf 경로에서 도메인(공인 시간) 및 클라이언트에 허용할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합니다.
위에서는 공인 시간을 server time.bora.net, server ntp.kornet.net, server ntp2.kornet.net를 설정하였습니다.[root@master02 /]# cat /etc/chrony.conf # Use public servers from the pool.ntp.org project. # Please consider joining the pool (http://www.pool.ntp.org/join.html). #server 3.rhel.pool.ntp.org iburst server time.bora.net server ntp.kornet.net server ntp2.kornet.net # Allow NTP client access from local network. allow 211.XXX.XXX.XXX/24(마스터 아이피 또는 대역을 추가) allow 10.XXX.XXX.XXX/24(클라이언트의 아이피 또는 대역을 추가)
▶ 마스터 서버 2호기 역시 1호기와 동일하게 설정을 해주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마스터 서버를 두개로 설정한 후 Primary와 Second로 바라보기 위해서 마스터 서버를 2개 설정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root@master01/]# netstat -an | grep -i 123 udp 0 0 0.0.0.0:123 0.0.0.0:* udp 0 0 211.XXX.XXX.XXX:53924 203.XXX.XXX.XXX:123 ESTABLISHED
▶ NTP의 포트는 123번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NTP 포트를 열어줘야 합니다. 해당 포트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root@master02 /]# netstat -an | grep -i 123 udp 0 0 0.0.0.0:123 0.0.0.0:* udp 0 0 211.XXX.XXX.XXX:46517 203.XXX.XXX.XXX:123 ESTABLISHED
▶ 2호기 역시 NTP의 포트는 123번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NTP 포트를 열어줘야 합니다. 해당 포트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root@master01 /]# systemctl status chronyd | grep -i active; systemctl status ntpd | grep -i active Active: active (running) since Sat 2021-04-24 16:17:45 KST; 2 weeks 3 days ago Active: inactive (dead)
▶ Redhat 8 버전의 운영체제 부터는 7과 다르게 chrony라는 모듈화 된 타임존 서비스가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반드시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ntpd 데몬과 chronyd 데몬 둘 중 한 가지의 데몬만 활성화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번 파트에서는 chronyd 데몬으로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 ntpd 데몬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합니다.
[root@master02 /]# systemctl status chronyd | grep -i active; systemctl status ntpd | grep -i active Active: active (running) since Sat 2021-04-24 16:19:27 KST; 2 weeks 3 days ago Active: inactive (dead)
▶ 2호기 역시 1호기와 같은 상태인지 확인을 합니다.
[root@master01 /]# systemctl start chronyd [root@master01 /]# systemctl enable chronyd
▶ chrony의 데몬을 활성화 하고 부팅 시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합니다.
[root@master02 /]# systemctl start chronyd [root@master02 /]# systemctl enable chronyd
▶ 2호기 역시 chrony의 데몬을 활성화 하고 부팅 시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합니다.
[root@master01 /]# timedatectl Local time: Wed 2021-05-12 11:21:09 KST Universal time: Wed 2021-05-12 02:21:09 UTC RTC time: Wed 2021-05-12 02:21:09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NTP enabled: yes(현재 NTP 데몬 상태) NTP synchronized: yes(NTP 동기화 확인) RTC in local TZ: no DST active: n/a
▶ master01서버에서 NTP 동기화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master02 /]# timedatectl Local time: Wed 2021-05-12 11:21:19 KST Universal time: Wed 2021-05-12 02:21:19 UTC RTC time: Wed 2021-05-12 02:21:19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NTP enabled: yes NTP synchronized: yes RTC in local TZ: no DST active: n/a
▶ master02 서버 역시 NTP 동기화가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root@master01/]# chronyc sources -v 210 Number of sources = 3 .-- Source mode '^' = server, '=' = peer, '#' = local clock. / .- Source state '*' = current synced, '+' = combined , '-' = not combined, | / '?' = unreachable, 'x' = time may be in error, '~' = time too variable. || .- xxxx [ yyyy ] +/- zzzz || Reachability register (octal) -. | xxxx = adjusted offset, || Log2(Polling interval) --. | | yyyy = measured offset, || \ | | zzzz = estimated error. || | | \ MS Name/IP address Stratum Poll Reach LastRx Last sample =============================================================================== ^- time.bora.net 3 10 365 29m -333us[ -613us] +/- 27ms ^? 168.126.3.6 0 10 0 10y +0ns[ +0ns] +/- 0ns ^* 220.73.142.66 2 10 377 902 -36us[ -316us] +/- 5277us
▶ NTP 마스터서버(master02)에서 공인 시각(timezone)을 받아와 동기화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master02 /]# chronyc sources -v 210 Number of sources = 3 .-- Source mode '^' = server, '=' = peer, '#' = local clock. / .- Source state '*' = current synced, '+' = combined , '-' = not combined, | / '?' = unreachable, 'x' = time may be in error, '~' = time too variable. || .- xxxx [ yyyy ] +/- zzzz || Reachability register (octal) -. | xxxx = adjusted offset, || Log2(Polling interval) --. | | yyyy = measured offset, || \ | | zzzz = estimated error. || | | \ MS Name/IP address Stratum Poll Reach LastRx Last sample =============================================================================== ^- time.bora.net 3 10 375 235 -842us[ -842us] +/- 25ms ^? 168.126.3.6 0 10 0 10y +0ns[ +0ns] +/- 0ns ^* 220.73.142.66 2 10 377 401 -11us[ -498us] +/- 6064us
▶ NTP 마스터서버(master02)에서 공인 시각(timezone)을 받아와 동기화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client01 /]# cat /etc/chrony.conf # Use public servers from the pool.ntp.org project. # Please consider joining the pool (http://www.pool.ntp.org/join.html). #server 0.rhel.pool.ntp.org iburst #server 1.rhel.pool.ntp.org iburst #server 2.rhel.pool.ntp.org iburst #server 3.rhel.pool.ntp.org iburst server 211.227.xxx.xxx iburst(master01 IP) server 211.227.xxx.xxx(master02 IP)
▶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chrony.conf의 경로에 마스터 서버의 IP를 설정합니다.
[root@client01 /]# systemctl status chronyd | grep -i active; systemctl status ntpd | grep -i active Active: active (running) since Sat 2021-04-24 16:36:48 KST; 2 weeks 3 days ago Active: inactive (dead)
▶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chronyd 데몬을 활성화 시켜주거나 활성화가 되어 있다면 active 상태를 확인합니다.
[root@client01 /]# timedatectl Local time: Wed 2021-05-12 11:25:53 KST Universal time: Wed 2021-05-12 02:25:53 UTC RTC time: Wed 2021-05-12 02:25:53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NTP enabled: yes NTP synchronized: yes(NTP 동기화 확인) RTC in local TZ: no DST active: n/a
▶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마스터 서버를 바라보며 시간이 동기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client01 /]# chronyc sources -v 210 Number of sources = 2 .-- Source mode '^' = server, '=' = peer, '#' = local clock. / .- Source state '*' = current synced, '+' = combined , '-' = not combined, | / '?' = unreachable, 'x' = time may be in error, '~' = time too variable. || .- xxxx [ yyyy ] +/- zzzz || Reachability register (octal) -. | xxxx = adjusted offset, || Log2(Polling interval) --. | | yyyy = measured offset, || \ | | zzzz = estimated error. || | | \ MS Name/IP address Stratum Poll Reach LastRx Last sample =============================================================================== ^* 211.227.xxx.xxxx 3 10 377 83 -134us[ -165us] +/- 5755us ^+ 211.227.xxx.xxxx3 9 377 74 -221us[ -221us] +/- 4315us
▶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마스터 서버1호기와 2호기를 바라보면 시간이 동기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는 primary를 말하고 +는 second를 말합니다.
반응형2020.05.02 - [System of Infra/UNIX] - IBM AIX NTP 설정 작업
IBM AIX NTP 설정 작업
IBM AIX NTP 설정 작업 [root@test_svr1:/]# ifconfig -a en3: flags=1e084863,480 inet 10.50.1.151 netmask 0xffffff00 broadcast 10.50.1.255 tcp_sendspace 262144 tcp_recvspace 262144 rfc1323 1 [root@tes..
pinetreeday.tistory.com
2021.09.27 - [System of Infra/WINDOW] - WINDOW NTP 정보 확인하는 방법
WINDOW NTP 정보 확인하는 방법
WINDOW NTP 정보 확인하는 방법 C:\Users\Administrator>netstat -ano | findstr 123 UDP 0.0.0.0:123 *:* UPP [::]:123 *:* UDP [::]:53123 *:* ▶ netstat 명령어를 통해서 NTP의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을 합..
pinetreeday.tistory.com
PS. 포스팅의 내용은 제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참고해서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스팅 과정의 오류 및 오타 그리고 궁금한 점에 대해서는 댓글 남겨주세요.
728x90반응형'System of Infra > Linux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Centos 7 타임스탬프 설정 (0) 2021.07.08 LINUX Centos 7 방화벽 설정 및 확인 (1) 2021.06.01 LINUX Bonding 구성 확인하는 방법 (0) 2021.04.08 LINUX Secuve TOS Agent 사용하는 방법 (3) 2021.04.05 LINUX NIC 및 HBA(WWPN) 위치 확인 하는 방법 (0) 2021.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