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NDOW NTP 정보 확인하는 방법System of Infra/Window System 2021. 9. 27. 20:46728x90반응형
WINDOW NTP 정보 확인하는 방법
C:\Users\Administrator>netstat -ano | findstr 123 UDP 0.0.0.0:123 *:* UPP [::]:123 *:* UDP [::]:53123 *:*
▶ netstat 명령어를 통해서 NTP의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123 포트의 경우 TCP가 아닌 UDP로 Listen 상태가 아닌 *:*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C:\Users\Administrator>w32tm /dumpreg /subkey:parameters 값 이름 값 종류 값 데이터 ------------------------------------------------------------------------------------------------- NtpServer REG_SZ 10.50.1.5,0x9 ServiceDll REG_EXPAND_SZ %systemroot%\system32\w32time.dll ServiceDllUnloadOnStop REG_DWORD 1 ServiceMain REG_SZ SvchostEntry_W32Time Type REG_SZ NTP
▶ 현재 윈도우 시스템에서 NtpServer로 사용되고 있는 아이피가 10.50.1.5, 0x9라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NTP 서버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해당 출력 화면은 NtpServer REG_SZ time.windows.com, 0x8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Users\Administrator>w32tm /query /status 윤초 조정: 0(경고 없음) 계층: 5(보조 참조 - (S)NTP로 동기화됨) 정밀도: -23(틱당 119.209ns) 루트 지연: 0.0007863s 루트 분산: 0.0309976s 참조 ID: 0xAC113D20(원본 IP: 10.50.1.5) 마지막으로 동기화한 시간: 2021-07-27 오후 12:59:56 원본: 10.50.1.5,0x9 폴링 간격: 10(1024s)
▶ 윈도우 시스템의 NTP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현재 원본 IP: 10.50.1.5 대역으로 NTP 서버를 설정하여 사용을 하고 있고 마지막 동기화한 시간까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NTP 서버를 사용하지 않거나 동기화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내용으로 출력이 됩니다.
* 마지막으로 동기화한 시간: 지정되지 않음
* 원본: Free-running System ClockC:\Users\Administrator>w32tm /query /configuration [구성] EventLogFlags: 2 (로컬) AnnounceFlags: 10 (로컬) TimeJumpAuditOffset: 28800 (로컬) MinPollInterval: 6 (로컬) MaxPollInterval: 10 (로컬) -> 10 권장값 MaxNegPhaseCorrection: 54000 (로컬) MaxPosPhaseCorrection: 54000 (로컬) MaxAllowedPhaseOffset: 1 (로컬) FrequencyCorrectRate: 4 (로컬) PollAdjustFactor: 5 (로컬) LargePhaseOffset: 50000000 (로컬) SpikeWatchPeriod: 900 (로컬) LocalClockDispersion: 10 (로컬) HoldPeriod: 5 (로컬) PhaseCorrectRate: 1 (로컬) UpdateInterval: 100 (로컬) [시간 공급자] NtpClient (로컬) DllName: C:\Windows\system32\w32time.dll (로컬) Enabled: 1 (로컬) InputProvider: 1 (로컬) AllowNonstandardModeCombinations: 1 (로컬) ResolvePeerBackoffMinutes: 15 (로컬) ResolvePeerBackoffMaxTimes: 7 (로컬) CompatibilityFlags: 2147483648 (로컬) EventLogFlags: 1 (로컬) LargeSampleSkew: 3 (로컬) SpecialPollInterval: 1024 (로컬) -> 3600 Type: NTP (로컬) NtpServer: 10.50.1.5,0x9 (로컬) -> 동기화가 되었을 경우 헥사의 표기가 0x8에서 0x9로 변경 NtpServer (로컬) DllName: C:\Windows\system32\w32time.dll (로컬) Enabled: 0 (로컬) InputProvider: 0 (로컬)
▶ 해당 명령어를 통해서 NTP 설정에 관한 속성 정보를 자세히 확인하게 되면 NtpServer: 10.50.1.5,0x9 (로컬)로 사용을 하고 있고, SpecialPollInterval: 1024 (로컬)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레지스트리 편집기에 접속을 한 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
W32Time\TimeProviders\NtpClient경로에 들어가게 되면 SpecialPollInterval에 대한 16진수 또는 10진수에 대한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6진수의 경우 400 10진수의 경우 1024로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cmd 모드에서 해당 값과 일치하는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SpecialPollInterval의 경우 3600(1시간)이 권장 값이고 그 이하로 지정을 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동기화 주기 초단위 3600=1시간 36=1분이라고 한다면 1024의 경우는 약 28~30분 정도의 주기로 동기화가 설정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MaxNegPhaseCorrection: 540000 (로컬) ->54000 권장값(15시간), MaxPosPhaseCorrection: 54000(로컬) -> 54000 권장 값(15시간)의 경우에도 15시간의 오차 이상을 넘어가지 않도록 해당 값보다 작은 값으로 지정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C:\Users\Administrator>W32tm /config /syncfromflags:manual /manualpeerlist:10.50.1.5 /update
▶ Client에서 NTP서버를 바라보도록 타깃을 지정하기 위해 해당 IP로 설정하는 작업입니다.
C:\Users\Administrator>net stop w32time C:\Users\Administrator>net start w32time C:\Users\Administrator>w32tm /resync
▶ NTP 서버에 대한 타깃을 변경하게 되는 작업을 하게 된다면 변경 후 해당 데몬 서비스를 재기동해주도록 합니다. 데몬을 활성화 시켜준뒤 시간 동기화를 통해서 NTP 서버와의 Sync를 맞추도록 합니다.
C:\Users\Administrator>w32tm /stripchart /dataonly /computer:10.50.1.5
▶ 타깃을 지정하고 NTP 서버 동기화를 통해서 시간이 줄어드는 오차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15시간 이상 차이가 나게 된다면 동기화는 실패를 하게 됩니다.
15시간 이상의 시간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근사치 값에 설정을 한 뒤 작업을 수행하면 되겠습니다.반응형2021.05.25 - [System of Infra/LINUX] - LINUX Redhat8 NTP 설정
2020.05.02 - [System of Infra/UNIX] - IBM AIX NTP 설정 작업
PS. 포스팅의 내용은 제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참고해서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스팅 과정의 오류 및 오타 그리고 궁금한 점에 대해서는 댓글 남겨주세요.
728x90반응형'System of Infra > Window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 한글 언어 패키지 변경하는 방법 (8) 2022.07.25 WINDOW 웹 사이트 Git hub 구성하는 방법 (2) 2022.03.30 WINDOW HBA 카드 WWPN 정보 확인하는 방법 (0) 2021.09.16 WINDOW 클라우드 시스템 모델 유형 (0) 2020.06.19 WINDOW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유형 (0) 2020.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