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Centos 7 타임스탬프 설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1. 7. 8. 21:00728x90반응형
LINUX Centos 7 타임스탬프 설정
[root@admin/]# history 5 1028 cat .bash_profile 1029 LANG="en_US.UTF-8" 1030 history 5 1031 LANG=C 1032 ls -lrt
-> 현재 리눅스 시스템에서 history Command 명령어 사용하게 되면 몇일에 사용되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root@admin/]# cat /etc/profile TMOUT=600 export TMOUT HISTTIMEFORMAT="%F %T "(추가) export HISTTIMEFORMAT(추가)
-> root의 최상위 디렉토리 profile에 HISTTIMEFORMAT 환경변수를 추가해줍니다.
[root@admin/]#login
-> 프로파일 적용을 위해서 재로그인을 해주도록 합니다.
[root@admin/]# history 5 1006 2021-06-02 14:44:50 who 1006 2021-06-02 14:44:51 history 100 1007 2021-06-02 14:44:55 chmod 775 profile 1008 2021-06-02 14:44:58 date 1009 2021-06-02 14:45:20 history 5
-> 히스토리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해당 명령어에 대한 타임스탬프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닉스의 HISTSIZE와 같은 기능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단, 타임스탬프는 히스토리에 적용된 시점의 시간부터 적용이 되기 때문에 이전 명령어 또한 적용된 시점으로 출력이 됩니다.
2020.09.06 - [System and Cloud/Unix] - IBM AIX 명령어 타임스탬프 찍기
IBM AIX 명령어 타임스탬프 찍기
IBM AIX 명령어 타임스탬프 찍기 [root@test_svr1:/]# history 165 bootlist -om normal 166 lspv 167 lsvg -l rootvg 168 lsvg rootvg 169 df -tg ...(생략) -> 이전의 명령어를 보기 위해서 history명령어..
pinetreeday.tistory.com
PS. 포스팅의 내용은 제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참고해서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스팅 과정의 오류 및 오타 그리고 궁금한 점에 대해서는 댓글 남겨주세요.
728x90반응형'System of Infra > Linux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TCP DUMP를 활용한 포트 확인 (0) 2021.08.08 LINUX Locale 언어 변경하는 방법 (0) 2021.07.23 LINUX Centos 7 방화벽 설정 및 확인 (0) 2021.06.01 LINUX Redhat8 NTP 설정 (0) 2021.05.25 LINUX Bonding 구성 확인하는 방법 (0) 202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