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
LINUX Virbr0 어댑터 삭제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3. 2. 16. 21:42
LINUX Virbr0 어댑터 삭제하는 방법 1. virbr0는 가상 네트워크 스위치의 개념으로 사용될 때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libvirtd 데몬 (libvirtd)을 처음 설치하고 시작하면 가상 네트워크 스위치를 나타내는 기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virbr0입니다. 2. virbr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Guest(가상머신)가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을 허락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주소 전송(NAT)을 위해 사용됩니다. 3. 호스트가 하이퍼바이저로 운영되는 시스템이 아니라면 굳이 필요하지 않은 인터페이스입니다. [root@Linux net]# ip addr | grep -i vir 4: virbr0: mtu 1500 qdisc noqueue state DOWN group default ql..
-
LINUX SELinux 비활성화 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1. 12. 27. 19:55
LINUX SELinux 비활성화하는 방법 [root@localhost /]# sestatus SELinux status: enabled SELinuxfs mount: /sys/fs/selinux SELinux root directory: /etc/selinux Loaded policy name: targeted Current mode: enforcing Mode from config file: enforcing Policy MLS status: enabled Policy deny_unknown status: allowed Max kernel policy version: 31 ▶ 리눅스 시스템에서 sestatus 명령어를 통해서 현재 SELinux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SELinux sta..
-
WINDOW NTP 정보 확인하는 방법System of Infra/Window System 2021. 9. 27. 20:46
WINDOW NTP 정보 확인하는 방법 C:\Users\Administrator>netstat -ano | findstr 123 UDP0.0.0.0:123*:* UPP[::]:123*:* UDP[::]:53123*:* ▶ netstat 명령어를 통해서 NTP의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123 포트의 경우 TCP가 아닌 UDP로 Listen 상태가 아닌 *:*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C:\Users\Administrator>w32tm /dumpreg /subkey:parameters 값 이름 값 종류 값 데이터 ------------------------------------------------------------------------------------------------- NtpSer..
-
WINDOW HBA 카드 WWPN 정보 확인하는 방법System of Infra/Window System 2021. 9. 16. 23:30
WINDOW HBA 카드 WWPN 정보 확인하는 방법 [내PC]->[속성]->[시스템 종류 64비트 운영 체제, x64기반 프로세스] ▶ 윈도우 서버의 해당 디렉터리로 접근하여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기반을 확인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17530 fcinfo_x86.msi -> 다운로드 fcinfo_amd64.msi fcinfo_ia64.msi ▶ Microsoft의 해당 URL로 접근을 하게 되면 메인보드의 제조사에 따라서 다운로드하는 fcinfo 파일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Intel cpu의 기반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파일중에서 x86 MS 기반의 fcinfo_x86.msi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C:\..
-
LINUX NMON 설치 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1. 9. 16. 23:18
LINUX NMON 설치하는 방법 [root@TEST01 /]# cat /etc/redhat-release CentOS Linux release 7.9.2009 (Core) -> NMON을 설치하기전에 해당 서버의 버전을 확인합니다. 버전에 따라서 다운로드 RPM의 버전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서버의 버전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https://centos.pkgs.org/7/epel-x86_64/nmon-16g-3.el7.x86_64.rpm.html https://download-ib01.fedoraproject.org/pub/epel/7/x86_64/Packages/n/nmon-16g-3.el7.x86_64.rpm -> 해당 URL에 접속하여 버전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합니다. 리눅스의 버전이 7..
-
LINUX MCCS 클러스터 구축하기 실습(3)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1. 9. 6. 21:36
LINUX MCCS 클러스터 구축하기(3) [#1,#2 준비된 사항] 10.50.62.103 L-EDU-S-03(서버#1) 10.50.82.104 L-EDU-S-04(서버#2) 10.50.62.230 Virtual IP(VIP) 100.100.62.103 HeartBeat IP#1 100.100.62.104 HeartBeat IP#2 200.200.62.103 Mirror IP#1 200.200.62.104 Mirror IP#2 -> 리눅스의 CLI모드에서 MCCS 클러스터 설치 및 설정을 통해서 구성하기 위한 준비가 끝난 뒤 GUI 환경에서 클러스터에 대한 환경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L-EDU-S-03(서버#1)과 L-EDU-S-04(서버#2)의 HeartBeat주소 또는 VIP를 통해서 ..
-
LINUX MCCS 클러스터 구축하기 실습(2)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1. 8. 24. 22:39
LINUX MCCS 클러스터 구축하기 실습(2) LINUX MCCS 클러스터 구축하기 실습(1)번 포스팅 글에 이어서 다음과 같이 실습을 수행하도록 하겠습니다. [root@L-EDU-S-03 etc]# cat drbd.conf global { disable-ip-verification; usage-count no; } common { startup { wfc-timeout 1; } } resource r0 { protocol C; disk { resync-rate 100M; c-plan-ahead 0; } net { max-buffers 8192; } device /dev/drbd0; floating 200.200.62.103:7788 { disk /dev/sdb1; meta-disk /dev/sdb2[..
-
LINUX MCCS 클러스터 구축하기 실습(1)System of Infra 2021. 8. 23. 20:47
LINUX MCCS클러스터(mantech) 구축하기 실습 리눅스 운영체제의 실습 환경에서 사전에 TEST#1,#2 두 개의 서버와 각각 해당하는 아이피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습을 진행함. [사전 준비 사항] 10.50.62.103 L-EDU-S-03(서버#1) 10.50.82.104 L-EDU-S-04(서버#2) 10.50.62.230 Virtual IP(VIP) 100.100.62.103 HeartBeat IP#1 100.100.62.104 HeartBeat IP#2 200.200.62.103 Mirror IP#1 200.200.62.104 Mirror IP#2 [root@L-EDU-S-03 /]# cat /etc/redhat-release CentOS Linux release 7.4.1..
-
IBM AIX ERROR LOGGING BUFFER OVERFLOW 에러 해결 방법System of Infra/Unix System 2021. 8. 8. 17:17
IBM AIX ERROR LOGGING BUFFER OVERFLOW 에러 해결 방법 [test_svr01:/] errpt A39F8A49 0726190721 T S syserrlg ERROR LOGGING BUFFER OVERFLOW -> AIX 시스템에서 A39F8A49 해당 에러 코드로 메시지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면 errlog가 많이 쌓여 있어서 메모리 버퍼를 더 늘려주거나 errlog의 파일을 삭제 후 새로 생성을 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test_svr01:/usr/lib] errdemon -l Error Log Attributes -------------------------------------------- Log File /var/adm/ras/errlog Log Size 104857..
-
LINUX TCP DUMP를 활용한 포트 확인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1. 8. 8. 16:49
Linux TCPDUMP를 활용한 포트 확인 [root@test_svr01 /]# cat /etc/redhat-release CentOS Linux release 7.8.2003 (Core) -> 해당 운영체제의 버전 -> 해당 OS의 버전 확인 명령어를 통해서 TCP DUMP 테스트를 진행할 운영체제 버전을 확인합니다. 현재 OS의 버전은 Cent 7.8 버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test_svr01 /]# yum list | grep -i tcpdump tcpdump.x86_64 14:4.9.2-4.el7_7.1 @anaconda [root@test_svr01 /]# tcpdump -V tcpdump: option requires an argument -- 'V' tcpdump 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