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BM VIOS서버 스토리지 볼륨 할당 작업System of Infra/Unix System 2020. 9. 10. 19:01728x90반응형
IBM VIOS서버 스토리지 볼륨 할당 작업
[svr2_vios1:/]# lspv
hdisk0 00c5c6d7fcd3ca7d rootvg active
hdisk1 00f6a4769acf5801 rootvg active
....
hdisk254 none None
hdisk255 none None
-> 현재 VIOS1서버에 디스크의 마지막 번호가 hdisk255이고 hdisk256번호로 디스크를 스토리지에서 한개 더 할당하도록 하겠습니다.
[svr2_vios1:/]# lsdev -Cc adapter | grep -i fcs
fcs0 Available 01-00 8Gb PCI Express Dual Port FC Adapter (df1000f114108a03)
fcs1 Available 01-01 8Gb PCI Express Dual Port FC Adapter (df1000f114108a03)
-> VIOS1서버에서의 fcs어댑터 번호를 확인합니다.
[svr2_vios1:/]# lscfg -vl fcs0 | grep -i net
Network Address.............10000000C9E7F826
[svr2_vios1:/]# lscfg -vl fcs1 | grep -i net
Network Address.............10000000C9E7F827
-> fcs0과 fcs1의 wwn을 확인 합니다.
-> IBM스토리지 내의 호스트포트->서버네임->fcs0,fcs1번의 wwn의 정보가 svr2_vios1에서 확인한 숫자가 같은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IBM스토리지 내의 호스트별 볼륨->서버네임->볼륨작성을 통해서 디스크를 생성해주도록 하겠습니다.
-> 디스크의 용량을 700GB짜리 한개를 생성하여 이름은 test_svr1_700G라는 이름으로 생성 하도록 하겠습니다.
-> SVR2_VIOS1서버에 맵핑 및 작성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 확인을 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볼륨 맵핑을 클릭하여 디스크 할당을 완료해주도록 합니다.
-> 필터링을 통해서 생성시 주었던 이름 test_svr1_700G를 검색하여 볼륨이 할당 되었는지 확인 합니다.
[svr2_vios1:/]#cfgmgr -v
-> cfgmgr을 통해서 동기화하는 syn를 해줍니다.
[svr2_vios1:/]# lspv
hdisk0 00c5c6d7fcd3ca7d rootvg active
hdisk1 00f6a4769acf5801 rootvg active
....
hdisk254 none None
hdisk255 none None
hdisk256 none None
-> hdisk256번이 추가로 할당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svr2_vios1:/]# bootinfo -s hdisk256
716800
-> 디스크의 용량이 스토리지에서 할당한 용량과 같은 용량인것을 확인 합니다.
[svr2_vios1:/]# lsattr -El hdisk256 | grep -i unique_id
unique_id 33213600507640083800F58000000000003B504214503IBMfcp Unique device identifier False
-> 256번 디스크의 unique_id를 보면 3B5의 숫자가 IBM스토리지 상태에서 같은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PS. 포스팅의 내용은 제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참고해서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스팅 과정의 오류 및 오타 그리고 궁금한 점에 대해서는 댓글 남겨주세요.
728x90반응형'System of Infra > Unix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V5000 스토리지 Flashcopy를 통한 OS설치 (0) 2020.09.16 IBM VIOS 디스크 VIOC 맵핑 하는 방법 (0) 2020.09.10 IBM AIX 명령어 타임스탬프 찍기 (0) 2020.09.06 IBM HMC Command 명령어로 start/stop/restart (0) 2020.09.04 IBM HMC Command 명령어로 terminal 창 종료 (0) 202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