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xfs Type Filesystem 증설하는 방법System of Infra/Linux System 2024. 6. 24. 23:23728x90반응형
▣ LINUX xfs Type 파일시스템 증설하는 방법
[root@TESTSVR ~]# df -Th | grep -i root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mapper/ol-root xfs 15G 12G 3.3G 79% / /dev/sda1 xfs 1014M 224M 791M 23% /boot /dev/mapper/ol-grid xfs 4.0G 33M 4.0G 1% /grid /dev/mapper/ol-oracle xfs 15G 5.4G 9.6G 36% /oracle /dev/mapper/ol-tmp xfs 2.0G 33M 2.0G 2% /tmp /dev/mapper/ol-data xfs 5.0G 33M 5.0G 1% /data
▶ 현재 구성되어 있는 파일시스템의 영역의 크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테스트 환경에서는 / 영역의 15GB에서 디스크 추가를 통해 파일시스템 증설을 하겠습니다.
[root@TESTSVR1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a 8:0 0 50G 0 disk ├─sda2 8:2 0 49G 0 part │ ├─ol-swap 252:1 0 8G 0 lvm [SWAP] │ ├─ol-data 252:4 0 5G 0 lvm /data │ ├─ol-tmp 252:2 0 2G 0 lvm /tmp │ ├─ol-root 252:0 0 15G 0 lvm / │ ├─ol-grid 252:5 0 4G 0 lvm /grid │ └─ol-oracle 252:3 0 15G 0 lvm /oracle └─sda1 8:1 0 1G 0 part /boot
▶ lsblk 명령어를 통해서 현재 할당되어 있는 디스크 정보가 확인 가능하며, 현재 /dev/sda 디스크에서 논리적으로 sda2, sda1을 통해 파일시스템이 구성되어 있고 해당 vg명(ol), lv명(root)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TESTSVR1 ~]#pvscan PV /dev/sda2 VG ol lvm2 [<49.00 GiB / 0 free] Total: 1 [<49.00 GiB] / in use: 1 [<49.00 GiB] / in no VG: 0 [0 ]
▶ 물리적인 디스크 장착 후 pvscan을 통해서 추가된 디스크 추가합니다.
[root@TESTSVR1 ~]# vgextend ol /dev/sdb Physical volume "/dev/sdb" successfully created. Volume group "ol" successfully extended
▶ pvscan을 통해 물리적인 디스크가 증설 되었고 추가된 /dev/sdb 디스크를 vg(ol)에 확장시키도록 합니다.
[root@TESTSVR1 ~]# lvscan ACTIVE '/dev/ol/root' [15.00 GiB] inherit ACTIVE '/dev/ol/swap' [8.00 GiB] inherit ACTIVE '/dev/ol/tmp' [2.00 GiB] inherit ACTIVE '/dev/ol/oracle' [15.00 GiB] inherit ACTIVE '/dev/ol/data' [5.00 GiB] inherit ACTIVE '/dev/ol/grid' [<4.00 GiB] inherit =============================================================
▶ vg(ol)안에 생성된 lv의 명을 확인하기 위해 lvscan을 통해서 lv 구성정보를 확인합니다. 증설할 / 의 lv의 경우 /dev/ol/root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TESTSVR1 ~]# lvextend -l +100%FREE -n /dev/ol/root Size of logical volume ol/root changed from 15.00 GiB (3840 extents) to <25.00 GiB (6399 extents). Logical volume ol/root successfully resized.
▶ pvscan 및 vgextend를 통해서 증설이 완료 되었으면, lvextend를 통해서 /dev/ol/root에 추가된 디스크를 확장시켜 줍니다. +100%/FREE의 경우 모든 디스크의 용량을 다 할당하겠다는 의미입니다.
[root@TESTSVR1 ~]# df -Th | grep -i ol-root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mapper/ol-root xfs 15G 12G 3.3G 79% /
▶ lvextend를 통해서 증설된 후에도 용량이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xfs_growfs 명령어 수행 필요)
[root@TESTSVR1 ~]# xfs_growfs /dev/ol/root meta-data=/dev/mapper/ol-root isize=256 agcount=4, agsize=983040 blks = sectsz=512 attr=2, projid32bit=1 = crc=0 finobt=0 spinodes=0 data = bsize=4096 blocks=3932160, imaxpct=25 = sunit=0 swidth=0 blks naming =version 2 bsize=4096 ascii-ci=0 ftype=1 log =internal bsize=4096 blocks=2560, version=2 = sectsz=512 sunit=0 blks, lazy-count=1 realtime =none extsz=4096 blocks=0, rtextents=0 data blocks changed from 3932160 to 6552576
▶ xfs 파일시스템 증설을 위해서는 xfs_growfs [파티션 경로]가 필요합니다. xfs_growfs /dev/ol/root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root@TESTSVR1 ~]#df -Th | grep -i root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mapper/ol-root xfs 25G 12G 14G 47% / /dev/sda1 xfs 1014M 224M 791M 23% /boot /dev/mapper/ol-grid xfs 4.0G 33M 4.0G 1% /grid /dev/mapper/ol-oracle xfs 15G 5.4G 9.6G 36% /oracle /dev/mapper/ol-tmp xfs 2.0G 33M 2.0G 2% /tmp /dev/mapper/ol-data xfs 5.0G 33M 5.0G 1% /data
▶ df 명령어를 통해서 / 경로의 15GB -> 25GB로 파일시슨템 증설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S. 포스팅의 내용은 제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참고해서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스팅 과정의 오류 및 오타 그리고 궁금한 점에 대해서는 댓글 남겨주세요.
2022.04.26 - [System of Infra/Linux System] - LINUX LVM(Logical Volume Managemant) 구성하는 방법
2022.03.30 - [System of Infra/Linux System] - LINUX DISK Linear RAID 구성하는 방법(1편)
2022.03.23 - [System of Infra/Linux System] - LINUX DISK 추가를 통한 파티션 생성하는 방법(2편)
728x90반응형'System of Infra > Linux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Local Repository 생성 하는 방법 (8) 2024.01.03 LINUX Touch 명령어를 통한 날짜 수정하는 방법 (3) 2024.01.02 LINUX faillock 명령어를 이용한 계정 lock 해제 (2) 2023.07.14 LINUX Oracleasmlib 설치하는 방법 (2) 2023.07.13 LINUX JAVA(JDK) Version 1.8 설치하는 방법 (2) 2023.07.12